1990년대 초, 스티브 잡스는 애플을 떠난 뒤 새로운 컴퓨터를 개발하기 위해 넥스트(NeXT)를 설립했다. 그러나 회사는 초기 몇 년간 방향성을 명확히 하지 못해 부진했다. 이후 잡스는 "우리가 기술로 해결하려는 핵심 문제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졌고, 그 답으로 교육과 연구에 특화된 고성능 컴퓨터라는 명확한 목표를 설정했다. 이 초점은 넥스트의 기술이 교육기관에서 주목받는 계기가 되었고, 결과적으로 애플로 복귀해 혁신적인 제품을 만드는 기반이 되었다. 주제를 명확히 설정하는 일은 이처럼 성공의 첫걸음이자 중심축이다. 책을 쓰는 과정에서도 주제를 정하는 일은 책의 방향성과 메시지를 결정짓는 핵심 단계다.
책의 주제를 정하는 과정은 단순히 흥미로운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것을 넘어, 저자의 열정과 독자의 필요, 그리고 구체적인 메시지를 결합하는 작업이다. 주제를 잘 정한 책은 독자에게 가치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저자 스스로 창작 과정에서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1. 저자의 열정: 창작의 원동력
책의 주제는 저자의 진심 어린 열정에서 출발해야 한다. 자신이 진심으로 관심 있고, 깊이 탐구해온 주제를 선택할 때 독자에게 전달되는 메시지는 더욱 생생하고 설득력 있다. 파키스탄 출신의 여성 교육 운동가이자 노벨 평화상 수상자인 말라라 유사프자이는 자신이 겪었던 여성 교육의 현실을 주제로 책 '나는 말라라'를 집필했다. 그녀의 진솔한 경험과 열정은 독자에게 강렬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전 세계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저자의 열정은 책이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독자의 감정을 움직이는 힘을 부여한다.
2. 독자의 필요: 공감과 가치를 창출하다
주제를 정할 때 가장 중요한 고려 사항 중 하나는 독자의 필요와 관심사이다. 책은 독자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해 읽는 매체인 만큼, 독자가 얻게 될 가치를 중심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자기계발서의 베스트셀러 '아침의 기적'은 바쁜 현대인들이 아침 시간을 활용해 삶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필요를 정확히 포착했다. 독자들이 자신의 삶을 개선할 수 있는 실질적인 조언을 제공한 덕분에 전 세계적으로 300만 부 이상 판매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저자는 독자의 고민과 필요를 철저히 이해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주제를 설정해야 한다.
3. 구체성과 명확성: 초점을 잃지 않기 위한 필수 요소
추상적이고 광범위한 주제는 책의 방향성을 흐리고 독자를 혼란스럽게 만든다. 반면, 구체적이고 명확한 주제는 독자가 책의 핵심 가치를 바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영국의 심리학자, 다니엘 네틀(Daniel Nettle)의 '행복의 기원'은 막연히 행복이라는 넓은 주제를 다루지 않고, 행복을 신경과학과 진화심리학적 관점에서 설명하는 데 집중했다. 이 구체성 덕분에 책은 명료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독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주제가 구체적일수록 독자는 책에서 무엇을 기대해야 하는지 명확히 알 수 있다.
책의 주제를 정하는 일은 단순히 시작하는 단계가 아니라, 책의 성공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과정이다. 저자의 열정은 독자를 매료시키는 원동력이 되며, 독자의 필요를 반영한 주제는 책의 가치를 높인다. 또한 구체적이고 명확한 주제 설정은 저자가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독자가 책에서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도록 돕는다. 책을 쓰는 과정에서 “내가 이 책으로 진정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져라. 그 질문에 대한 답을 명확히 하는 순간, 당신의 책은 단순한 글을 넘어 독자와 깊은 연결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책쓰기 #주제선정 #창작의출발 #집필전략 #독자의관점 #열정과필요 #구체적인주제 #성공적인글쓰기 #책의방향성 #창작팁
'책쓰기의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제를 발견하는 법 : 당신만의 이야기를 써라 (2) | 2025.01.07 |
---|---|
책 1,000권 읽기 vs 한 권 쓰기: 진정한 성장의 선택 (0) | 2025.01.06 |
완성도 높은 글을 위한 문법의 기본기 (2) | 2025.01.03 |
독자의 신뢰를 얻는 글쓰기: 맞춤법에서 시작하다 (1) | 2025.01.02 |
완벽한 초고는 없다: 베스트셀러 작가들의 탈고 비법 (2) | 2024.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