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출판준비12 메시지가 중심이 되는 글쓰기의 기술 2013년, 미국의 작가 그렉 맥커운(Greg McKeown)은 《에센셜리즘》이라는 책을 출간하며 전 세계 독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일에 집중하라”는 메시지를 던졌다. 그는 이 책을 쓰기 전, 포춘 500대 기업의 경영진들을 컨설팅하며 수많은 성공한 사람들을 만났지만, 그중 다수가 너무 많은 일을 벌이다 결국 자신이 진짜 원했던 삶과 멀어졌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한다. 그렉은 어느 날 회의실에서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이 정말 중요한가?”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졌고, 그 답을 찾기 위해 책을 쓰기로 결심했다. 그가 말하길, 책을 쓰는 목적은 단순히 주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분명히 하는 데 있다고 했다. 많은 사람들이 “무슨 주제로 책을 쓸까?” 고민하는 사이, 그는 “무슨.. 2025. 4. 24. 출판사, 어디가 좋을까? 준비는 오늘부터 2019년, 직장인 김효진 씨는 퇴근 후 매일 밤 30분씩 글을 썼다. 목표는 분명했다. “내 이름으로 된 책을 출간하자.” 그녀는 블로그를 통해 소소한 일상을 기록하며 조금씩 독자들과의 접점을 만들어갔고, 마침내 1년 만에 한 권 분량의 원고를 완성했다. 문제는 그다음이었다. 원고는 썼지만, 어떤 출판사에 보내야 할지 몰랐던 것이다. 인터넷에 “출판사 추천”이라고 검색해도 상위 노출된 광고성 리스트만 가득했다. 그녀는 좌절했고, 결국 몇 군데 출판사에 무작정 원고를 보냈지만 반응은 없었다. 그렇게 반년이 흐른 뒤, 우연히 알게 된 독립 출판사 대표와 인연이 닿아 책을 내게 되었다. 효진 씨는 말했다. “그때 느꼈어요. 출판사도 미리 알아보고 준비했어야 했다고.”책을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세상.. 2025. 4. 15. 책쓰기, 분량보다 중요한 단 하나의 기준 2006년, 미국의 작가 칼 뉴포트(Cal Newport)는 박사 과정을 밟으면서도 첫 책을 출간하는 데 성공했다. 그의 책 『How to Win at College』는 불과 200페이지 남짓한 분량이었지만, 실제 대학 생활의 구체적인 팁과 전략이 빼곡히 담겨 있었다. 당시 대부분의 자기계발서들이 두껍고 일반론적인 조언으로 가득할 때, 칼 뉴포트의 책은 짧지만 명확한 조언으로 독자의 호평을 받았다. 그는 이후 『딥 워크』, 『디지털 미니멀리즘』 등의 책으로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는데, 그가 지속적으로 강조한 한 가지 원칙이 있다. 바로 “내용의 밀도가 곧 책의 가치다”라는 신념이다. 그는 책의 분량을 채우기보다는 독자가 바로 실천할 수 있는 내용만 선별해 구성하는 방식으로 글을 써왔다.많은 예비.. 2025. 4. 10. 작가들의 스타일 전쟁: 목차파 vs. 직진파 소설가 한유정은 데뷔 전, 매일 새벽 다섯 시에 일어나 글을 썼다. 처음에는 거창한 계획도 없었다. 단지, 떠오르는 이야기를 쭉쭉 써내려갔다. 그렇게 6개월을 쓴 결과, 원고는 300매를 훌쩍 넘겼지만 구조는 엉망이었다. 반면, 출판사 편집자로 일하던 정성훈은 책을 쓰기 전 10페이지짜리 목차부터 만들었다. 각 장마다 어떤 메시지를 줄 것인지, 어떤 사례를 쓸 것인지 미리 계획했다. 글쓰기를 시작하고 2개월 만에 그는 80% 이상의 원고를 완성했다. 이 두 사람의 사례는 하나의 질문으로 연결된다. "나는 목차를 먼저 짜는 스타일인가, 아니면 그냥 쓰며 흐름을 만드는 스타일인가?"책을 쓰는 데 정답은 없다. 하지만 ‘자기에게 맞는 방식’을 아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 출발점은 바로 계획형인지, 직관.. 2025. 4. 9. 내 책의 콘셉트, 이렇게 정하라 베스트셀러 『해리 포터』 시리즈의 작가 J.K. 롤링은 마법이라는 판타지적 요소를 활용하면서도, 성장과 우정, 선과 악의 대립이라는 명확한 콘셉트를 설정했다. 그녀는 단순한 마법 이야기가 아니라, 독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감정과 메시지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구성했다. 이처럼 명확한 콘셉트가 없다면 책은 방향을 잃기 쉽고, 독자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기지 못한다. 실제로 베스트셀러 작가들은 자신만의 독창적인 콘셉트를 설정함으로써 독자들의 관심을 사로잡는다. 따라서 책을 통해 무엇을 전달할 것이며, 독자에게 어떤 변화를 가져오고 싶은지를 명확히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책의 콘셉트를 정하는 것은 단순한 과정이 아니다. 이는 책의 성공 여부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이며, 독자와의 연결고리를 형성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 2025. 1. 31. 완성도 높은 글을 위한 문법의 기본기 2017년, 한 유명 에세이가 출간과 동시에 베스트셀러에 등극했다. 그러나 독자들 사이에서는 문법과 맞춤법 오류에 대한 비판이 이어졌다. 예컨대, "그는 그녀를 사랑했고, 하지만 그녀는 그를 미워했다." 같은 비문이 반복되며 독자들의 몰입을 방해했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이기주의적인 생각으로"라는 문장에서 "이기주의적"이라는 표현이 부적절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작가의 진정성과 솔직함이 돋보이는 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문법적 오류는 일부 독자들에게 실망감을 안겨주었다. 이 사례는 아무리 내용이 훌륭하더라도 문법과 표현의 정확성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일깨워 준다. 책은 독자와의 신뢰를 바탕으로 완성되는 매체다. 따라서 글을 쓰는 과정에서 문법을 정확히 준수하는 것은 작가로서의 책임이자 글의.. 2025. 1. 3.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