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처음 쓰기 시작하면 무수히 많은 정보와 자료 속에서 길을 잃기 쉽다. 마치 여러 씨앗 중에서 무엇을 심어야 가장 좋은 열매를 맺을지 고민하는 것과 같다. 하지만 씨앗을 심기 전에, 내가 어떤 열매를 원하는지부터 분명히 해야 한다. 그래야만 원하는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책을 쓰는 것도 마찬가지다. 당신이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가 명확하다면, 그에 맞춰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과정도 자연스럽게 탄력을 받게 된다.
책을 쓰기 위해서는 자료 수집이 필수적이다. 나도 처음에는 '메시지 노트' 하나로 시작했다. 하지만 몇 개월이 지나면서 여러 가지 주제에 맞는 메시지 노트를 따로 만들게 되었다. 디지털 시대에 맞춰 처음에는 컴퓨터에 메시지 폴더를 만들어 사용했지만, 요즘은 더 편리한 온라인 카페를 활용하고 있다. 이렇게 자료를 정리하다 보면 어느 순간 내가 필요로 하는 정보가 잘 정리되어 있음을 느낄 수 있다.
자료 수집의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신문과 잡지 같은 전통 매체에서 유용한 정보를 찾는 것이다. 아날로그 매체이지만 여전히 시의성 있는 정보를 얻기에 좋은 방법이다. 예를 들어, 일간지 두 종류와 경제지 두 종류를 구독하면서 관련된 기사나 정보를 매일 스크랩한다. 눈에 띄는 기사가 있으면 오려내고, 날짜를 기록한 후 스마트폰으로 촬영해 디지털 파일로 보관한다. 이렇게 자료를 모으는 과정은 일상 속 작은 습관으로도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는 책이다. 책은 깊이 있는 정보를 얻는 데 여전히 가장 유용한 원천이다. 내가 쓰고자 하는 주제와 관련된 책을 수십 권 찾아보고, 때로는 예전에 읽었던 책을 다시 읽어야 할 때도 있다. 중요한 것은 단순히 읽고 지나치는 것이 아니라, 그 내용을 내 것으로 만드는 것이다. 다독과 지속적인 기록이 결국 당신의 책쓰기에 큰 자양분이 될 것이다.
셋째는 인터넷이다. 인터넷에는 수많은 정보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고 있다. 포털 사이트를 활용해 매일같이 새로운 정보를 접하고, 필요한 자료를 선별해 모아야 한다. 하지만 인터넷에서 얻은 정보는 반드시 사실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무작정 가져다 쓰면 출처 문제로 법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출처를 명확히 밝히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하다.
자료를 모은 후 가장 중요한 것은 그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필요에 맞게 활용하는 것이다. 수집한 자료가 정리되지 않으면 오히려 짐이 될 수 있다. 그래서 어느 정도 자료가 모이면, 책쓰기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에 선별하고 불필요한 자료는 과감히 버려야 한다.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지속성'이다. 자료를 꾸준히 모으고 정리해야 원하는 메시지를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자료 수집과 정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남의 자료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창의적으로 자기 것으로 만드는 것이다. 수집한 정보를 자신의 시각으로 재해석하고, 자신만의 목소리로 표현해야 한다. 그렇게 해야만 당신의 책이 독창적이고 진정성 있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책쓰기는 마치 정원을 가꾸는 것과 같다. 씨앗을 심고, 물을 주고, 가지를 다듬으며 결국 아름다운 정원이 완성되는 과정이다. 처음에는 복잡하고 힘들게 느껴질 수 있지만, 꾸준한 습관이 쌓여 결국 당신만의 아름다운 작품으로 피어날 것이다. 중요한 것은 자료를 모으는 것뿐만 아니라, 그 자료를 정리하고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그렇게 정리된 메시지를 통해 사람들의 마음에 울림을 주는 책을 완성해 보자.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책쓰기 #글쓰기 #자료수집 #창작노하우 #저자되기 #책작성 #자기계발 #글쓰기팁 #작가되는법 #메시지정리 #콘텐츠창작 #자료정리 #글쓰는방법 #작가성장 #책집필 #글쓰기노하우 #작가의길 #지속성 #창의적글쓰기
'책쓰기의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쓰기와 글쓰기는 왜 다를까? (18) | 2024.11.16 |
---|---|
작은 결심이 책을 완성하는 3가지 비법 (17) | 2024.11.16 |
책쓰기의 첫걸음: 메시지, 공감, 소통으로 완성하는 나만의 이야기 (12) | 2024.11.15 |
첫 번째 장을 써내려가는 용기, 책쓰기 여정의 시작 (6) | 2024.11.14 |
나의 글을 변화시키는 모델 북 찾기와 활용법 (4) | 2024.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