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쓰기의 기술

목차 쓰기의 기술

by 책쓰기의 기술 2024. 8. 25.
반응형

책을 한 권 쓰기 위해서는 A4 용지 100장 분량의 원고를 작성해야 한다. 한 꼭지에 2페이지씩 작성한다고 하면, 50꼭지를 작성해야 100장이 나온다. 50꼭지를 5장으로 구성한다고 하면 1장당 10꼭지씩 작성하면 된다. 치밀하게 구조를 생각하고 어떤 내용을 쓸지에 대한 충분한 아이디가 있다면 각 5장의 제목과 50꼭지의 제목을 쓰는 데 큰 문제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 목차를 쓰는 것 막힐 것이다. 이제 막 어떤 주제로 책을 쓸지 결정한 단계에서 세부적인 주제를 다루기는 쉽지 않기 때문이다.

앞서 목차를 건물의 설계도에 비유해 설명했다. 하지만, 목차를 실제 건축 도면처럼 사전에 완벽히 설계하고 책을 탈고한다는 것은 실제로 불가능에 가깝다. 원고를 쓰다 보면 주제에 관한 생각의 확장되어 예상하지 못한 새로운 아이디어나 자료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책을 쓰는 과정에서 글의 흐름이 생각했던 것과 다르게 전개되거나 논리적 전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부 주제에 대해 충분한 자료를 확보하지 못한 경우, 기존 목차에서 일부 장을 삭제하거나 순서를 변경하는 등 목차를 조정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런 이유로 목차는 원고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수시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책을 집필하기 위해서는 세부적인 목차 작성에 너무 힘을 들이기보다, 책의 커다란 주제 정도만 장의 제목으로 정해 놓고 세부적인 꼭지의 내용은 브레인스토밍 생각하고 작성하는 것이 좋다. 원고를 집필하면서 필요한 내용을 추가하거나, 불필요한 내용을 삭제하는 등 꼭지를 수정해 가며 작성하는 방식인 것이다.

그렇다면 각 장과 꼭지의 제목에 대한 아이디어는 어떻게 얻을까? 가장 손쉬운 방법은 경쟁 도서에서 아이디어를 얻는 것이다. 자신의 집필하려는 분야의 책을 교보문고나 YES24 등 온라인 서점에서 찾아보고 비슷하게 작성해 보는 것이다. 목차 작성은 다음의 순서를 따르면 수월하게 작성할 수 있다.

1. 경쟁 도서 검색

자신이 집필하려는 분야의 책을 검색한다. 예를 들면 자신이 ‘대화법’에 관한 책을 쓰고 싶다고 하면 ‘자기계발 – 경화술/협상’ 카테고리에 들어가 출간된 책의 목차를 살펴본다. 또는 메인 검색 창에서 자신의 쓰려는 책의 키워드를 입력해서 검색한다. 예를 들면 ‘대화법’이라고 입력 후 검색되는 책들을 살펴본다.

2. 경쟁 도서 목차 수집하기

경쟁 도서의 목차를 살펴보고 자신이 쓰려고 하는 주제와 비슷하거나, 마음에 와닿는 목차를 정리한다. 장의 제목과 꼭지의 제목을 최소 100개 정도 리스트업해 본다. 리스트는 검색 도중 계속 변경되거나 추가될 수 있으니, Excel과 같은 스프레드시트에 정리하는 것을 추천한다. 아래는 ‘대화법’을 주제로 정리한 목찰 리스트의 예시이다.

3. 목차 작성하기

정리된 목차를 글의 주제에 맞게 분류하여 장의 제목을 작성해 본다. 정리된 꼭지 리스트 중 자신이 쓰려는 책의 내용에 꼭 필요한 항목을 선정해 목차를 작성한다. 정리된 목차의 제목을 자신의 언어로 패러프레이징(Paraphrase, 뜻이 바뀌지 않는 선에서 앞에서 쓴 말을 다른 단어 등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것)해 본다. 이는 자기 생각으로 집필할 항목을 정리하며, 자신만의 목차를 만드는 과정이다.

예시)

친밀도가 급상승하는 대화법 -> 친밀감을 빠르게 높이는 대화

10초 만에 상대방의 마음을 여는 법 -> 단시간에 상대의 마음을 여는 방법

말이 서툰 사람일수록 호감을 사는 이유 -> 말을 잘하지 못하는 사람이 오히려 호감을 얻는 이유

 

 

#목차쓰는방법 #책쓰기 #목차작성 #출판팁 #작가생활 #글쓰기노하우 #책구성 #출판준비 #창작활동 #목차구성 #글쓰기팁 #책구성방법 #출판기획 #작가도전 #목차작성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