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쓰기의 기술

작가들의 스타일 전쟁: 목차파 vs. 직진파

by 책쓰기의 기술 2025. 4. 9.
반응형

소설가 한유정은 데뷔 전, 매일 새벽 다섯 시에 일어나 글을 썼다. 처음에는 거창한 계획도 없었다. 단지, 떠오르는 이야기를 쭉쭉 써내려갔다. 그렇게 6개월을 쓴 결과, 원고는 300매를 훌쩍 넘겼지만 구조는 엉망이었다. 반면, 출판사 편집자로 일하던 정성훈은 책을 쓰기 전 10페이지짜리 목차부터 만들었다. 각 장마다 어떤 메시지를 줄 것인지, 어떤 사례를 쓸 것인지 미리 계획했다. 글쓰기를 시작하고 2개월 만에 그는 80% 이상의 원고를 완성했다. 이 두 사람의 사례는 하나의 질문으로 연결된다. "나는 목차를 먼저 짜는 스타일인가, 아니면 그냥 쓰며 흐름을 만드는 스타일인가?"

책을 쓰는 데 정답은 없다. 하지만 ‘자기에게 맞는 방식’을 아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 출발점은 바로 계획형인지, 직관형인지 자신의 글쓰기 스타일을 점검하는 것이다.

계획형은 글쓰기 전 목차를 먼저 잡는 방식이다. 이 스타일은 논리적 구조를 중시하고 전체 흐름을 설계한 뒤에 글을 써내려간다. 책의 주제를 명확히 알고 있으며, 각 장마다 어떤 내용을 담을지 구체적으로 설계한다. 예를 들어 비즈니스서나 자기계발서처럼 정보 전달이 중요한 책은 이 스타일이 특히 효과적이다. 정성훈처럼 출판 구조를 잘 아는 사람들은 독자가 어떤 흐름에서 내용을 소화하기 쉬운지 알기 때문에 목차부터 설계한다. 이 방식은 집필 중간에 방향을 잃지 않게 해주는 나침반이 된다.

반면, 직관형은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대로 글을 써내려가는 방식이다. 감정이나 영감, 흐름에 따라 이야기를 전개하며, 후반부에 구조를 조정한다. 문학작가나 에세이스트에게 이 방식이 흔하다. 한유정은 말한다. “처음부터 목차를 짜면 나는 그 틀에 갇혀 버린다. 이야기는 쓰면서 생겨난다.” 이 스타일은 자유롭고 유연하지만, 수정 작업에서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구조 조정, 내용 삭제, 논리 보완 등 글을 쓴 후에 다시 ‘건축’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두 방식 모두 장단점이 분명하다는 점이다. 계획형은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빠르게 만들 수 있지만, 창의성이 억제될 수 있다. 직관형은 창작의 재미가 크고 예상치 못한 흐름이 생길 수 있지만, 글의 중심을 잡지 못하고 흐트러질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가장 현명한 방법은 자신의 스타일을 정확히 아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글쓰기 초보라면, 간단한 목차를 짜고 그 흐름에 따라 글을 써보는 것이 안전하다. 반대로 평소 글을 많이 써왔고, 글에서 오는 ‘손의 리듬’을 아는 사람이라면 직관형 방식도 훌륭하다. 때로는 두 방식을 섞는 것도 가능하다. 큰 틀의 목차만 잡아놓고, 세부는 자유롭게 써내려가는 식이다. 글쓰기에서 중요한 건 ‘나만의 리듬’을 찾는 것이다.

한유정은 결국 자신이 쓴 원고를 다시 정리하고 목차를 재구성하면서 책을 완성했다. 정성훈 역시 집필 도중, 예기치 않게 떠오른 아이디어를 반영하기 위해 몇 번이나 목차를 수정했다. 두 사람 모두, 처음과 다르게 유연하게 글을 다루었다. 중요한 건 스타일이 아니라, 그 스타일을 자신에게 맞게 다듬는 능력이다. 당신은 목차부터 그리는 건축가인가, 아니면 붓을 따라 흐르는 화가인가? 책을 쓰고 싶다면, 먼저 당신의 글쓰기 스타일부터 점검해보라. 그 선택이 원고 완성의 속도와 만족도를 결정짓는다.

#책쓰기스타일 #글쓰기방법 #책집필법 #목차먼저쓰기 #글을그냥써내려가기 #작가의글쓰기습관 #계획형글쓰기 #직관형글쓰기 #책쓰기점검 #나에게맞는글쓰기 #책쓰기팁 #비문학글쓰기 #에세이쓰기노하우 #출판준비 #초보작가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