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쓰기의 기술

출간 계획서 작성의 중요성

by 책쓰기의 기술 2024. 10. 3.
반응형

나는 책 쓰기에 도전했다가 중도에 포기한 많은 사람들을 만나왔다. 그들의 경험을 통해 알게 된 한 가지 공통적인 문제는, 출간 계획서를 작성하지 않고 무작정 글을 쓰기 시작한 것이었다. 책 쓰기를 포기한 사람들 중 한 사람의 사례를 들어보자. 김 씨는 몇 년 전부터 자신의 경험을 담은 자서전을 쓰기 위해 노력해왔다. 그는 처음에는 열정적으로 글을 쓰기 시작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방향을 잃고 말았다. 김 씨는 글을 쓸 때마다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르면서 원고의 흐름이 자주 바뀌었고, 결국 글의 전반적인 일관성을 잃어버렸다. 그는 자신이 무엇을 쓸지 정확히 모르겠다는 혼란에 빠졌고, 책을 완성할 자신이 없어지기 시작했다.

김 씨는 출간 계획서 없이 무턱대고 글을 쓰기 시작한 것이 문제였다는 사실을 나중에 깨달았다. 구체적인 주제와 타깃 독자층을 정하지 않고, 전체적인 구조나 마감 기한도 없이 글을 쓰다 보니 점점 글이 방대해졌고 방향성도 흐려졌다. 그는 책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글쓰기 외에 명확한 계획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몰랐던 것이다. 결국 김 씨는 책을 완성하지 못하고 좌절했지만, 나중에 출간 계획서를 통해 방향성을 잡고 나서야 다시 도전할 수 있었다. 출간 계획서에는 책의 주제, 목표 독자, 집필 기간, 예상 목차, 경쟁 도서 분석 등 구체적인 항목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를 통해 그는 책을 쓰는 과정에서 다시는 방향을 잃지 않고, 단계적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다.

명확한 계획 없이 글을 쓰는 것은 방향 없이 항해하는 배와 같다. 목표나 경로가 정해져 있지 않으면 갈피를 잡지 못하고, 점점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어 결국 원하는 결과를 얻기 어려워진다. 책 쓰기도 마찬가지로, 책의 콘셉트, 예상 내용, 저자의 소개, 목표 독자층, 경쟁 도서, 집필 기간, 마케팅 전략까지 모두 계획되어야 한다. 이러한 계획이 세워져 있어야 전체적인 책의 틀이 눈에 보이고, 책을 쓰는 과정에서도 자신감을 가질 수 있다. 책을 쓰려는 사람들에게 출간 계획서를 작성하는 것은 필수적인 과제다. 열정을 가지고 책을 쓰고자 한다면, 출간 계획서를 꼭 작성해야 한다.

그렇다면 출간 계획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무엇일까? 나는 마케팅 전략을 제외한 나머지 요소들을 모두 중요하게 생각한다. 마케팅 전략이 덜 중요한 이유는 원고 작성 과정에서 필수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마케팅은 책이 출간된 후 출판사의 활동에 저자의 마케팅 역량이 더해질 때 비로소 중요해진다. 또한, 책이 출간되었을 때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추천사를 미리 고려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다. 추천사는 저자와 관계가 있고 해당 분야에서 신뢰받는 사람들에게 부탁하는 것이 좋다. 이들의 추천사는 독자들의 신뢰를 얻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책을 구매하는 데 주저하는 독자들에게 마지막 확신을 줄 수 있다.

결론적으로, 책을 쓰는 초보 저자들에게 출간 계획서는 절대 간과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요소다. 이를 소홀히 하면 책 출간의 꿈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중간에 멈추고 말 것이다. 출간 계획서는 마치 책 쓰기 여정의 길잡이와 같다. 얼마나 철저하고 잘 준비된 계획을 세우느냐에 따라 원고의 완성도, 집필 기간, 출판사의 선택, 나아가 책의 판매 부수까지 달라진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책쓰기 #출간계획서 #초보작가 #글쓰기팁 #책출간 #집필계획 #자서전쓰기 #출간성공 #글쓰기과정 #작가도전

반응형

'책쓰기의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첫 문장, 일단 시작하라  (1) 2024.10.05
집필 계획 수립하기  (1) 2024.10.04
경쟁 도서 분석하기  (1) 2024.10.02
책의 기본 구조는 목차다  (0) 2024.10.01
책 제목이 곧 책의 정체성이다  (0) 2024.10.01